본문 바로가기
재영군의건강한세상

꿀의 효능 질병별 정리

by 재영군 2017. 12. 14.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질병별로 정리해보는 꿀의 효능입니다. 꿀의 효능은 이미 매스컴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접할 수 있었습니다. 저희 장인어른께서 양봉을 하시는 관계로 저희 집은 늘 꿀이 떨어질 날이 없는데 별로 효능에 대해서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꿀을 어떻게 섭취하느냐에 따라 꿀의 효능이 달라진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는 위장병에 따른 꿀의 효능입니다. 위장병이 있는 분들은 꿀을 적당한 양만큼 꾸준히 섭취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먹으면 위에 부담을 주실 수 있으니 물에 타드시면 좋다고 하네요. 그러면 위장병에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어렸을 때 인삼을 갈아서 꿀에 넣어서 먹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렇게 먹으면 위장에 좋다고 하네요. 소화가 잘 안될 때도 꿀에 삽주 뿌리를 가루 내어 섞어서 먹으면 소화불량이나 식욕부진 혹은 의욕이 없을 때 좋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당뇨가 있을 때 먹는 꿀의 효능입니다. 당뇨에서는 보통 단 음식을 피하라고 말을 하지만 벌꿀의 성분과 설탕의 성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당뇨에서도 효능으 발휘한다고 합니다. 



설탕의 경우 분리되고 흡수되는 과정에서 인슐린, 칼슘, 비타민을 소모하지만 벌꿀은 이미 그러한 작업이 끝난 상태이기 때문에 인체에 들어가면 소화와 분해과정이 없이 바로 흡수가 되기 때문에 당뇨가 있으신 분들에게도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리고 당뇨환자들이 흔히 부족하기 쉬운 당질 섭취를 위해서도 좋다고 합니다. 




세 번째는 이질이 있을 때 꿀의 효능입니다. 이질에 걸리면 배에 통증이 심하게 옵니다, 이때 진하게 탄 꿀을 많이 섭취하면 이질에 좋다고 하네요. 이 때 생강즙을 같은 배율로 넣고 같이 물에 타서 마시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피를 쏟는 경우에는 생지황 즙에 꿀을 탄 다음 그냥 그 상태로 섭취를 하면 좋다고 합니다.




네 번째는 구내염증이 있을 때 입니다. 열이 많이 날 때 입안에 염증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 이 대 꿀을 입에 넣고 있다가 다 녹으면 넘기고 그런 과정을 반복하면 입안에 있는 염증이 아무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구내염이 있을 때 무 잎을 꿀에 담가두었다가 입에 물고 있어도 좋다고 합니다. 



다섯 째는 몸에 열이 많을 경우에 꿀을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꿀이 차가운 성질이기 때문에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고 하네요. 꿀을 찬물에 타서 마시면 열이 많은 분들에게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좀 다른 말이긴하지만 남성의 체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삼손이 꿀을 먹었다고 하죠?



여섯 째는 변비가 있을 때 꿀을 먹으면 효능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변비가 있는 경우 저녁 잠자리에 들기 전에 꿀을 두 스푼 정도 복용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30분이나 1시간 후에 물을 한 컵 마시고 자면 더 좋다고 하네요. 매일 아침 공복에 꿀을 물에 타서 마시면 연세가 많은 분들이나 혹은 산모들의 변비에 좋다고 합니다. 



일곱 째는 요즘처럼 환절기 기침이 많이 날 때 꿀물을 먹으면 좋습니다. 그냥 먹는 것도 좋지만 대나무 잎을 태운 가루를 섞어서 먹으면 만성 기침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대나무 잎은 열을 내리고 마른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네여. 그래서 같이 먹으면 좋은 모양입니다.



여덟 째는 고혈압에도 꿀이 좋다고 합니다. 꿀 속에는 화분과 효소가 그대로 살아있기 때문에 피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토종벌집을 애벌레가 있는 상태 그대로 삶아서 먹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먹는 분들도 계시다고 하더라고요.




끝으로 피로회복에도 좋은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쓰다보니 사실 더 많은데 다 쓸 수가 없어서 좀 추려서 꿀의 효능을 질병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평소에 늘 가까이 있어서 안먹을 때가 많았는데 포스팅을 하면서 보니 소중히 다루고 자주자주 먹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해당되는 사항들이 많아서요. 오늘은 꿀의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